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연두언니회 제 1편: 분리수거 완벽정리 with 내손안의분리배출 앱
    귤팁 대방출/연두 언니회(환경지킴이) 2021. 9. 8. 23:04

    일러스트 출처:  https://storyset.com/rafiki  &  https://www.flaticon.com/



    「 연두언니회 제 1편 : 분리수거 완벽정리 」


    어떤 컨텐츠로 시작할까 고민하다가 연두언니도 헷갈려서 자주 실수했던 부분을 정리해 왔어요 ~
    코로나로 인해 배달음식 주문이 급증하면서 일회용품의 심각성이 자주 뉴스에 반영되고 있어요!
    우리 일상에 아주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배출법부터 품목별분리수거에 대해서 차근차근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일회용품의 대체용품 및 재활용 재테크는 다음 컨텐츠에서 자세히 다룰게요)

    환경보호를 위해 불필요한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며,
    친환경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는 생활양식을 레스 웨이스트(less waste)라고 해요.
    쓰레기를 전혀 만들지 않는 삶을 의미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보다 처음 도전하기에는 부담이 적기 때문에 실천 및 유지가 쉽다는 점에 의미가 있어요. 이는 불필요한 물건에 대한 소유욕을 내려놓고 필요한 물건만을 갖춰 생활하려는 미니멀 라이프(minimal life)를 실천하는 시작점이 될 수도 있어요.

    레스 웨이스트(less waste)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간단하게 소개하고 마무리할게요~

    첫째,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은 물건 거절하기(배달 시 제공되는 일회용품 거절)
    둘째, 구매 전, 한 번 더 생각하기(충동구매하지 않기) → 처음부터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
    셋째, 분리수거 잘하기(올바른 분리수거는 쓰레기의 재활용률을 높여 자원 재순환을 촉진할 수 있음)


    이처럼 분리수거만으로도 우리는 레스 웨이스트의 생활양식에 한 걸음 다가설 수 있어요!
    이제부터 빠르게 진도 나가볼게요! 레츠고고고!

     

     


    분리수거 전 배출 방법

     

    누구나 손쉽게 분리수거를 실천할 수 있도록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어요!
    플레이 스토어 & 앱스토어에서 [내 손안의 분리배출]을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나옵니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분리수거 핵심방법, 품목별 분리배출 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안내하고 있으며,

    한경부 & 한국환경공단 &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가 협업하여
    제작부터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니 보다 정확한 정보를 보실 수 있어요 :)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은 분리수거의 핵심 방법 4가지(비우기, 헹구기, 분리하기, 섞지 않기)

    그외에도 품목별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 분리배출 시 혼동되는 사례 및 자주 묻는 질문(FAQ) /
    분리배출 질의응답(Q&A) 게시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재활용품 분리배출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히려 재활용이 어렵고 환경오염을 증진!

    일러스트 출처:  https://www.flaticon.com/


    이물질이 묻어있는 경우 재활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용물을 [비우기, 헹구기, 말리기] 후에 재활용 할 수 있어요!
    그러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있죠(예: 사용한 휴지, 피자 용기 속 기름종이 등).
    이렇게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종량제봉투에 담아서 일반쓰레기로 버리기~!

    또한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재활용품(예: 세제 리필용기, 스프링 노트, 비타 500캔 등)은
    각각 소재별로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도 예외가 있죠!
    소재별로 분리하기 어려운 용품들(예 칫솔, 볼펜, 빗 등)은 일반쓰레기로 버리기~!


    품목별 분리수거하는 방법

     

    일러스트 출처:  https://www.flaticon.com/


    조금 더 자세히 세부적인 내용을 표로 정리하려다 보니 오래 걸렸지만 완성된 걸 보니 뿌듯하네요 ㅎㅎ
    한글로 정리해서 옮기는 바람에 사이즈 규격이 조금 달라서 가독성이 조금 떨어지는 점 .. 아쉽지만 ..!
    그래도 찾기 쉽게 정리해 놨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

     

    노란색 표시는 재질별 분리가 필요함을 의미함 / 빨간색 표시는 배출방법을 주의해야함을 의미함
    종류 품목 배출방법
    종이류 가격표, 골판지, 광고전단지, 명함, 쌀포대, 서류봉투(갈색종이), 포스터 비닐 코팅이 되어 있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기
    신문지, 책자, 종이, 상자류, 달력포장지, 탁상달력, 피자/치킨박스, 잡지 물기 / 비닐코팅 / 스프링 / 테이프 / 철핀 등 제거 후
    차곡차곡 쌓아 압착 후 묶어서 배출하기
    종이팩(우유팩), 종이컵 내용물을 비우고, 헹구고, 압착하여 봉투 넣기 혹은 묶어서 배출하기
    빨대 비닐 등 종이팩과 다른 재질은 제거하기
    유리병류 음료수병, 기타병류(잼, 향신료 등) 내용물 비우고, 헹궈서 배출하기
    상표제거 및 유리병이 깨지지 않도록 주의하기
    병제품 뚜겅의 대부분은 금속재질로 분리하기
    보증금 환급이 가능한 병류: 소주, 맥주 등은 소매점 등으로 반납하여 보증금 환급 병뚜껑과 라벨에 보증금 환불 문구를 확인해보기
    유리병이 아닌 것: 거울, 전구, 깨진유리, 도자기류, 내열식기류, 유독물 병 등  
    캔/
    금속캔
    스프레이, 부탄가스, 애완동물 음식캔, 철캔/알루미늄캔(음료, 주류, 식료품) 내용물을 비우고, 헹궈서 배출하기
    스프레이, 부탄가스 등은 구멍을 내어 내용물을 제거 후 배출하기
    (밀폐뙨 공간이나 불 옆에서 작업하면 폭발 위험 있음)
    고철 고철(공기구, 철사, 못 등), 비철금속(알미늄, 스텐류 등)
    국자, 그릇, 나사, , 도끼, 맥주 병뚜껑, 분유깡통, 아령, 압력솥, 옷걸이, 후라이팬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한 후 봉투에 넣거나 끈으로 묶어서 배출하기
    낫과 도끼와 같이 손잡이 부분(나무재질)의 재질이 다르다면 분리해서 배출하기(만약 분리가 어렵다면 종량제봉투로 배출)
    플라스틱 리코더, 마요네즈 용기, 빨대, 분무기, 샴푸용기, 비디오 테이프, 젖병, 치약용기,
    캡(뚜껑), 컵 등
    내용물을 비우고, 헹궈서 배출하기(오염이 심할 경우 일반쓰레기)
    부착상표, 부속품 등 본체와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하기
    샴푸용기, 식기세정제 등 펌핑식 용기는 펌프를 분리해서 배출하기
    스티포롬(컵라면, 스티로폼) 내용물을 비우고 헹궈서 배출하기(오염이 심할 경우 일반쓰레기)
    전자제품 구입 시 완충재로 역할 포장재는 가급적 구입처로 반납하기
    플라스틱 용기류, 비닐류와 구분하여 별도로 마련된 수거함에 배출하기
    건축 자재용 스티로폼은 산업폐기물로 구분하기
    비닐류 비닐포장재(커피 봉투, 라면봉투 등), 1회용 비닐봉투, 뽁뽁이(버블랩), 아이스팩 흩날리지 않도록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기
    일반 아이스패은 고흡수성수지(Gel 형태)가 포함된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로서 쓰레기(종량제봉투)로 배출하기
    물 아이스팩은 아이스팩을 뜯어 내용물을 비우고, 헹궈서 배출하기
    재활용표식이 있는지 살보기(없더라도 깨끗할 경우 재활용이 가능함)
    종량제
    봉투
    가발, 가위, 걸레, 계란껍질, 고무장갑, 골프공, 나무젓가락, 나침반, 낙엽, 돋보기, 라이터, 랩(사용후), 마스크, 마우스패드, 만년필, 면도기(일회용), 면도칼, 물티슈, 면봉, 방석, 보온병, 볼펜, 사인펜, 성냥, 샤프펜슬, 송곳, 수세미, 스폰지, 시계, 신발, 액자, 앨범, 야구공, 양초, 요가매트, 우산, 이불, 인형류, 자석, 전동칫솔, 전자피아노, 접착제, 지우개, 칫솔, 커튼, 콘택트렌즈, 텐트, 핫팩, 티백 헬멧, 호일(사용후), 깨진유리, 전구, 도자기/화분, 프링글스 통, 영수증(코팅), 포스트잇, 비닐랩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로서 쓰레기(종량제봉투)로 배출하기
    대형폐기물(종량제봉투에 담을 수 없는): 이불, 인형류, 전자피아노, 커튼, 텐트
    음식물 : 곰팡이피거나 유통기한 지난 된장/고추장
    과일/견과류: 코코넛/파일애플 껍질, 코코넛/살구/감 등 핵과류 씨, 호두, 밤, 땅콩
    육류: 소/닭/돼지 뼈
    채소류: 쪽파/대파/미나리 뿌리, 고추씨, 양파/마늘/생강/옥수수껍질, 옥수수대
    알껍질: 달걀/오리알/메추리알/타조알 등 껍데기
    찌꺼기: 각종 차류(녹차 등), 한약재 찌꺼기
    어패류: 조개/소라/전복/꼬막/멍게/굴 등 패류 껍데기, 게/가재 등 갑각류 껍데기
    생선뼈, 복어 내장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기

    바나나/사과/귤/수박/망고/멜론 껍질, 상한음식 등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기
    수박껍질 등과 같이 딱딱한 껍질은 잘게 잘라서 배출하기
    일반쓰레기에 버리게 되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약국이나 보건소의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기
    [출처] 내 손안의 분리배출 어플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플라스틱의 여러 종류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 보고서에 따르면 「일회용의 유혹, 플라스틱 대한민국, 2019.12」에서
    한국은 1년에 586,500톤의 플라스틱 일회용품을 소비하고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일회용 비닐봉투, 페트병, 플라스틱이 중심 품목으로 밝혀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린피스 웹사이트를 방문하셔서 보고서를 다운받아 확인해보세요:)

     

    [보고서] 일회용의 유혹, 플라스틱 대한민국 -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를 거쳐 이제는 ‘플라스틱 시대(Plastics Age)’라고 할 정도로 우리는 플라스틱 과소비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한국인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소비량, 현재 국내 재활용 문

    www.greenpeace.org

     

    또한 환경부(2016)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은 98.2kg입니다...! ㅇ0ㅇ..

    2016년이라는게 믿기지 않네요...

    이는 세계 1위 수준으로 일본(66.9kg), 프랑스(73%), 미국(97.7kg)보다 많은 양입니다.

    이처럼 프라스틱을 소비하는 양만큼 이에따른 폐기물량도 만만치 않았는데요..!
    따라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위와 같이 플라스틱의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사용 현황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보고된 만큼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배출로 재사용/재활용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도 중요합니다!

     

    일러스트 출처:  https://www.flaticon.com/

     


    환경부는 2020년 12월 25일부터 전국 공동주택(300가구이상/150세대 이상으로 승강기 설치/중앙집중식 난방 아파트)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 배출 의무화 시행→ 단독주택 및 상가, 빌라는 시범운영 중이며 2021년 12월 25일부터 제도가 적용됨

     

    투명 페트병을 분리해서 배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페트는 단일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 되어서 분리수거 품목 중에서도 재활용률이 높은 품목 중 하나입니다.
    특히, 투명 페트병은 혼합/유색 플라스틱에 비해 오염도가 낮기 때문에 세척과정이 간편하다는 큰 장점으로
    의류 및 가방, 화장품 병 등 다양한 제품으로 재활용될 수 있어요~

    이렇게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을 하게 되면 연 2.9만톤에서 10만톤으로 국내 고품질 재활용원료를 확보할 수 있어요!!국내 재활용품은 유사품목 혼합배출로 인해 고품질 재활용품 생산이 제한적이라고 해요.부족한 고품질 재활용 원료 확보를 위해서라도 우리 함께 동참합시다!!

     

    투명 페트병을 분리해서 배출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분리수거의 핵심 4가지(비우기, 헹구기, 분리하기, 섞지않기) 잊지 않으셨죠?
    [내용물 비우기/이물질 헹구기] →[라벨제거하기]→[찌그려 부피줄이기]→[투명페트병 전용 배출함에 배출하기]
    중요한 점은! 페트병 자체에 색이 조금이라도 포함되었다면 플라스틱류로 배출해야 합니다 !!!



    올바른 분리수거 배출 방법만으로도 우리는 환경을 지키는 데 일조하고 있어요 :)
    어렵지만 작은 실천하나로도 내가 환경을 지키고 있다는 자신감 충분히 가지셔도 됩니다!
    최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환경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일상 속 변화를 찾고 있어요.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도 이미 글을 읽으신 것부터 작은 변화의 시작점 앞에 계십니다!

    '나'를 위해 '우리'를 위해 '환경'을 위해 같이 함께해요~~
    다음 포스팅에도 유용한 정보로 돌아올게요 ~~
    그때까지 작은 연두언니회 포스팅 작은 실천하기에요~!!!



    #분리수거#환경보호#녹색지구#초록지구#플라스틱#투명플라스틱#내손안의분리배출#레스웨이스트#분리배출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