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발짝 비건] 왜 비건이 아닌 술이 있나요? 비건인 술엔 어떤 게 있나요?
[한발짝 비건] 왜 비건이 아닌 술이 있나요? 비건인 술엔 어떤 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연두 언니입니다!
여러분들은 술 좋아하시나요?
비건식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놓치기 쉬운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술! 주류입니다.

'분명 원재료 확인했을 때는 비건인 것 같았는데요???'
하실 분들도 있을텐데요~
오늘은 왜 주류들(와인, 맥주, 막걸리 등)이 비건이 아닌지,
비건인 술엔 어떤 게 있는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함께 알아보아요!
간단하게 한 잔 할때 많이들 즐겨마시는 맥주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부레풀이라는 것이 사용되어 비건이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부레풀은 물살이(물고기)들의 공기주머니인 '부레'를 말린 후 물에 끓여서 만든 접착제인데요.
이뿐 아니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제나 첨가물에 동물 유래 제품이 사용되기도 하여
'분명히 원재료엔 없었는데' 비건이 아닌 제품들이 탄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직접들어가진 않기 때문에 원재료 명에는 들어가지 않지만
제조공정과정에서 동물 유래 성분이 쓰이게 된다!
고 이해하시면 되겠죠?
중앙일보 기사에 따르면, 와인의 경우도 맥주와 비슷하게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물질들로
카세인(소젖의 단백질), 키틴(갑각류 껍질 유래 섬유), 알부민(닭알 흰자 유래 단백질) 등
다양한 것들이 사용되어 비건이 아니게 됩니다.
비건 와인의 경우엔 점토 기반의 물질이나 식물성 카세인 등을 사용해 와인의
오염물질들을 걸러 만들게 된다고 하네요~
포도로 만드는데… 채식주의자를 위한 와인은 따로 있다? | 중앙일보 (joongang.co.kr)
포도로 만드는데… 채식주의자를 위한 와인은 따로 있다?
내추럴 와인 입문서로 유명한 이자벨 르쥬롱의『내추럴 와인(NATURAL WINE)』에 따르면 "유기농법을 사용하는 포도밭에서, 병에 담는 과정에서 소량의 아황산염을 넣는 것(아예 넣지 않는 경우도
www.joongang.co.kr
때문에 비건인 분들은 이러한 첨가물을 활용하지 않은
'내추럴 와인'을 구입하여 즐기시면 됩니다!
내추럴 와인이란 대량생산하는 와인이 아닌,
제조 과정에서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한으로 한 와인을 말하는데요.
근래에는 국내에서도 내추럴 와인을 취급하는 와인바들이 늘어
논비건이신 분들도 쉽게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
마지막으로 막걸리! '쌀, 누룩, 물로 만든 게 막걸리인데 왜 비건이라고 굳이 하나요?ㅋㅋ'
하는 분들이 계신데, 정말 놀랍게도 동물성 성분이 들어가는 막걸리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말이 안된다!! 하시면 진짜로 편의점에서 막걸리 뒤 성분표 보시면
'우유 함유'라는 표시를 보실 수 있답니다.. ;)
젖산 함유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식물유래이나 동물성 젖산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어
무조건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건으로 확인된(제조사에 확인한) 막걸리 리스트들이
따로 돌아다니게 되는 것입니다..!
이밖에도 주류 밀봉시에 쓰이는 접착 코르크의 경우
우유에서 얻은 성분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므로 논비건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런 것들을 다 뺀, 비건인 술들은 대체 뭐가 있느냐?!?!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비건 주류 목록 - 비건편의점 WiKi - 위키독 (wikidok.net)
비건 주류 목록 - 비건편의점 WiKi - 위키독
개요모든 알코올이 비건은 아니다. 젤라틴, 달걀 흰 자, 우유 등 동물성 재료가 들어갈 수도 있고, 필터링 과정에서 탄화골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는 술이 논비건이 되는 이유를 간
ko.veganism.wikidok.net
흔히 편의점에서 접하기 쉬운 맥주 중 비건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맥주
버드와이저, 블루문, 카스, 아사히, 블루문, 하이네켄, 호가든,
스텔라 아르토이스, 칭타오, 싱하, 타이거, 창, 블랑, 산미구엘 등.
와인의 경우 내추럴와인이거나 다음의 브랜드일 경우 비건입니다.
와인
The Vegan Vine, Yellowtail(레드와인만), Charles Shaw(레드와인만),
Frey Vineyards, Red Truck Wines 등
그밖의 주류
위스키, 보드카, 럼, 진, 리큐르, 데킬라 등
앱솔루트 보드카, 봄베이 사파이어 진, 핸드릭스 진, 고든스, 탱커레이, 비피터,
바카디 럼, 말리부 럼, 예거 마이스터, 호세 꾸엘보 데킬라, 패트론 등
막걸리의 경우
락토밀, 꿀, 젖산(대부분은 식물성)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면 괜찮으며,
자주 접할 수 있는 장수막걸리엔 우유가 함유되므로 피하시면 됩니다!
오늘 이렇게 비건 주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알고는 있었지만, 준비하면서 생각보다 더
우리의 식문화와 동물유래성분들이 밀접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여러분들은 어떠셨나요?
올해에는 주류라도 비건인 제품들을 조금 더 구입하면서
한 발짝, 비건에 더 가까워져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그럼, 해피 드링크라잎 되세요~
*음주는 적당히*
[한발짝 비건] 왜 비건이 아닌 술이 있나요? 비건인 술엔 어떤 게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