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4대 빌런/4대 빌런 : 논문 심리

[연두언니와 논문읽기] Intro. 대학생,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 찾는 법/읽는 법/정리하는 법!

연두언니 Yeondu unnie 2021. 10. 24. 22:35

[연두언니와 논문읽기] Intro. 대학생, 대학원생 논문 읽는 법과 정리 방법

 

안녕하세요~ 연두 언니입니다!

드디어 논문 심리 카테고리에 첫 글을 쓰게 되었네요 :)

오늘은 논문으로 보는 심리학에 들어가기에 앞서, 

어떻게 논문을 읽고 정리해야하지? 하고 고민하실 대학생, (예비) 대학원생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논문 읽는 법과 정리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요즘은 고등학생분들도 관심있는 주제로 논문을 찾아 읽기도 하시던데요

(그 시절의 저를 생각하면 정말 너무 놀라운 학생분들이신데...)

 

원하는 주제에 대해 한 번 파기 시작하면 여러 가지 논문들을 같이 찾아보게 되지요~

다운 받아놓은 논문들은 많은데... 어떻게 정리해야할지는 모르겠고...

필요한 부분에는 다 밑줄은 쳐놓기는 했는데... 그러면 파일을 계속 돌려가면서 읽어야 하는 건지...

 

 

혹은

'어떤 주제에 대해 레포트를 써오라는 과제를 받았는데'

'논문 주제를 잡아오라는 교수님의 명을 받았는데'...

대체 어떻게 보고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야하지? 싶으시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1. 논문 찾는 법

2. 논문 보는/읽는 법

3. 논문 정리하는 법

이렇게 세 가지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1. 논문 찾는 법

논문은 어디에서 찾으면 될까요?

scholar.google.com 으로 가서 찾으래서 가서 찾았는데

다운 받아지는 논문이 있고 아닌 논문이 있죠?

한국과 해외 저널들을 한 번에 편하고 빠르게 찾아보기에는 scholar 사이트가 좋지만

제각기 다운받는 법이 다릅니다. 찾으시는 분 상황에 맞추어 한 번 알아볼게요!

 

 

0) 들어가기에 앞서

 

논문의 경우, 개념들이 일상용어들과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ex. 할 일 미루기->지연행동 / 행복->웰니스 등...)

그러니 찾고자 하시는 키워드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찾아보시고

논문에서 주로 사용되는 학술용어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셔서

해당 논문들을 찾고, 논문들의 참고문헌들에는 어떤 용어들이 있는지

혹은 해당 논문에서 사용한 논문들은 어떤지 파고파고 들어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1) 대학생, 대학원생인 경우 

 

대학생이신 경우, scholar에서 찾은 논문의 제목을 복사해서

소속 대학교 도서관에서 찾으면 나오는 경우도 있고요,

혹은 도서관에서 로그인 후 scholar.google.com 페이지 좌측 상단에 줄 세 개 아이콘 클릭 후

설정으로 들어가셔서

라이브러리 링크에서 본인 대학교 이름을 검색하신 후, 

체크표시해두고 저장하시면, 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논문들은 다음 사진과 같이

'Find it @ 학교명'으로 나오며 바로 다운받아지게 됩니다.

(riss도 대학교와 연계되어 서비스 되고 있다면 riss도 찾아서 등록해주세요~)

  

 

단, 도서관에 로그인 한 후에 scholar에 들어와야

바로 다운이 가능하니 유의해주세요~

(그래도 도서관에서 일일이 찾는 것보다는 편하다는 점!!)

 

그렇지만 위 사진에서 보이듯이 모든 논문을 각 대학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볼 수 없을 때가 있는데요.

 

그런 때에는 해당 제목을 클릭하여 어디서 서비스하고 있는지 확인해줍니다.

dbpia의 경우엔 대학교와 연계되어있다면 [기관인증]으로 로그인하시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안 된다! 하시는 분들은 국회도서관으로 가셔서 검색하신 후 자료가 있다면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없다면... 학교 도서관 홈페이지, riss, dbpia에서 다시 한 번 다 돌려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논문들만 찾기도 쉽지 않죠...😂

 

해외 논문은 어떡하나요? 하시는 분들은

제목을 구글 사이트에서 돌려서 찾아보실 수도 있고요~

researchgate.net 에서 fulltext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니

거기서 제목으로 검색하여 다운받으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해외 연구자들의 경우 리서치게이트에 본인이 요즘 보는 논문,

공동 작업한 논문, 하고있거나 관심있는 프로젝트 등을 게시하기도 하니

눈여겨보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가입하여 팔로우하고 종종 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리서치게이트 가입 시 학교 이메일로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또, 각 대학 도서관에서 전자자료 쪽 찾아보시면

국내외 여러 학술지들을 서비스하고 있을 겁니다!!

이에 대해 좀 더 알고싶으신 분들은

대학별로 학기 초에 도서관 이용 방법을 알려주는 프로그램들을 하니

한 번 들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 대학 서비스를 받지 못하시는 분들 

 

대학교의 서비스를 받지 못하시는 분들은

scholar에서 원하시는 논문들의 제목을 클릭하여

해당 사이트에서 바로 다운받아지는 논문들은 그 자리에서 다운받고,

다운이 안 되는 파일들은 (특히 해외저널은) researchgate.net 에서 찾아보고 다운받으시거나

국회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찾아 다운받으시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혹은 국립대의 경우 간혹 주민분들에게 얼마만큼의 금액을 받고 

서비스해주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주변 국립대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해당 서비스를 알아보시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

 

 

물론 위 방법들은 무료로 찾기 위한 방법들이며,

유료로 논문을 구입해도 괜찮다, 하시는 분들께서는 

유료서비스를 하는 논문의 경우 그냥 결제하여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2. 논문 읽는 법

 

다음은 논문 읽는 법인데요!

 

논문 읽는 법에서 전제하는 상황은

'한 주제로 다양한 논문들을 찾아봐야하는 경우' 입니다!

한 논문만 관심있어서 진득하게 읽어볼 때는 각자 원하시는 대로 읽으시면 되겠죠? 😊

 

저는 논문을 처음 읽어볼 때에는

요약부분인 초록(abstract)부터 서론, 방법, 결론까지

써 있는 대로, 책 읽듯이 읽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희는 바쁘다 바빠 21세기 현대사회의 사람들이 아니겠습니까..?

길고 어려운 서론부터 읽다 보면 지치고 힘들어져 몇 개 읽지 못하게 됩니다. 😥

 

그러니 (1) 일단 제목만으로 보고싶은 논문들을 죄다 다운받아 놓으세요.

이때, 웬만하면 제목을 복사하여 파일 이름으로 잘 저장해주시는 것이 나중을 위해 좋습니다.

 

원하는 만큼의 논문들이 다운받아졌다면

(2) 논문의 요약부분인 초록을 먼저 읽고, 해당 내용이 원하는 내용이면 남기고 아니라면 패스합니다.

 

(3) 남긴 논문들의 방법과 결과를 훑어서 전체 내용을 파악하고,

(4) 나중에 사용할 내용/필요한 부분에 표시해줍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서론부터 훑어가며 다시 읽어줍니다.

서론도 비슷비슷한 논문들을 읽다 보면 대체로 내용이 겹치니

처음 한 두 논문만 훑어주고, 서론에서 이야기하는 변인(변수, 특정 개념)을

본 논문에서 뭐라고 정의하고 있는지만 빠르게 파악하고 읽도록 합시다~

각 변인(변수, 개념)의 이름은 같지만 연구자별로 정의하는 바가 다를 때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읽은 논문들을, 필요할 때마다 매번 다 띄워두고 참고할 순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필요한 게 바로 논문의 정리법입니다!

 

 

3. 논문 정리하는 법

 

 

논문을 정리할 때에는 각자의 스타일에 맞추어 

한글이나 전용 프로그램이나 메모장, 원노트, 베어 등에 정리하실 수도 있겠는데요~

오늘 제가 가져온 방법은 엑셀에 정리하는 것입니다~

 

논문 정리_연두언니(주제)_211024(마지막수정날짜).xlsx
0.01MB

 

위 파일은 제가 간단히 만들어본 틀과 예시내용인데요~ 

원하시는 대로 수정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엑셀의 각 내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악필은 항상 이해해주시기...^^...)

 

 

이렇게 오늘은 논문을 어떻게 찾고, 읽고, 정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읽으신 분들께 도움이 좀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

 

대학원생이신 경우, 논문을 처음 읽을 때엔 당연히 더디고, 속도가 좀처럼 안 나서

하루에 하나 읽기도 힘들 때가 많더라고요.

읽다보면 비슷한 주제에 대한 지식이 점점 생겨서 속도가 붙기도 하고,

혹은 해외 논문인 경우 서술하는 방식이나 용어들이 익숙해져서

더 빠르게 읽어지기도 하니, 일단 하나하나 읽어가는 데 목표를 두면 좋을 것 같아요^^

 

모두의 배움과 공부에 응원을 보내며, 오늘 포스팅은 마무리하겠습니다~